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신청방법 (+이용대상 및 요금 안내)

다온누림 2025. 3. 17.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총정리

서울에서 병원을 가야 하지만 혼자 가기 힘드신가요? 🤕
이제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를 이용하면 출발부터 귀가까지 동행매니저가 함께합니다!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부터 이용 대상, 요금까지 한눈에 정리해보았습니다.
접수, 수납, 약국 방문까지 도와드리니 안심하고 병원을 이용하세요. 😊

🔹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란?

✅ 병원 갈 때부터 귀가까지 보호자처럼 동행

서울에서 병원을 가야 하지만 혼자 이동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동행매니저가 보호자처럼 병원 방문을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접수, 수납, 약국 방문까지 지원해 병원 이용이 훨씬 편리해집니다.

 

출발부터 귀가까지 병원 이용 전 과정 동행

서울시 내 병원만 가능 (대중교통 이용, 차량 제공 없음)

1인가구뿐만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누구나 신청 가능

 

병원 동행 매니저란 무엇인가? (+서비스 및 주요업무)🏥👫

건강이 중요한 건 누구나 알지만, 막상 병원에 가는 일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요.특히 혼자 병원에 가기 어려운 어르신이나 장애인, 임산부처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이 서비스는

daonenjoy.com

온라인 신청하기

🔹 신청 방법

✅ 전화 신청

1533-1179 (콜센터 운영시간: 평일 07:00~20:00 / 주말 사전예약자만 가능)

✅ 온라인 신청

✅ 신청 가능 시간

사전 예약: 최대 일주일 전부터 가능!

당일 신청: 최대 3시간 이내 매니저 도착! (단, 인원 상황에 따라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 이용 대상

✅ 누구나 신청 가능!

1인가구뿐만 아니라 다인가구라도 도움이 필요하면 OK!

주민등록이 서울이 아니어도 실제 거주하면 신청 가능! (예: 학업·직장으로 서울 거주 중인 분)

🔹 거동이 불편한 분도 이용할 수 있을까요?

✅ 이런 경우 가능해요!

🔹 혼자 병원 방문이 어려운 서울시민 (주민등록이 서울이 아니어도 실거주 중이면 가능)
🔹 연령 제한 없이 청년, 중장년, 어르신 모두 신청 가능
🔹 1인가구뿐만 아니라 다인가구라도 지원 필요하면 이용 가능

💡 휠체어 이용자도 신청 가능하지만, 스스로 착석할 수 있어야 해요.

❌ 하지만 이런 경우는 어려워요.

스스로 휠체어에 앉기 어려운 경우

혼자 화장실 이용이 힘든 경우 (변기에 혼자 앉을 수 없는 경우)

동행 매니저, 의료진, 주변인에게 욕설·폭언 등 위해를 가하는 경우

🔹 운영 시간

✅ 언제 이용할 수 있나요?

🕖 평일: 오전 7시~오후 8시
🕘 주말: 오전 9시~오후 6시 (사전 예약자만 가능)

🔹 이용 요금

✅ 비용은 얼마인가요?

💰 기본 요금: 시간당 5,000원 (30분 추가 시 2,500원)
💰 중위소득 100% 이하 시민은 연간 48회까지 무료! (49회부터 유료)
🚇 교통비는 본인 부담! (차량 제공 안 됨)

🔹 요금 결제 방법

✅ 어떻게 결제하나요?

💳 서비스 종료 후 결제 가능!
계좌이체 / 카드결제 / 모바일 결제 가능
✔ 단, 카드 단말기 부족으로 모든 경우 카드결제가 되지는 않을 수도 있어요.

🔹 이용 횟수 제한

✅ 몇 번까지 이용할 수 있나요?

□ 월 최대 10회, 연간 200시간까지 이용 가능!

무료 대상자는 연간 48회까지만 무료, 이후 유료 적용

🚨 취소 패널티 강화! (2025년 4월 1일부터 시행)

🚫 예약 취소 시 불이익이 있어요!

현장취소(노쇼)나 당일취소(예약시간 5시간 이내 취소) 시 취소 수수료 13,000원 부과!

반복될 경우 1개월 이용 제한!

❌ 이용 제한 조건

1️⃣ 현장취소(노쇼) 2번

2️⃣ 현장취소 1번 + 당일취소 2번

3️⃣ 당일취소 3번

📌 자주 묻는 질문 (FAQ)

1. 누구나 이용할 수 있나요?

네! 1인가구뿐만 아니라 다인가구라도 병원 방문에 어려움이 있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서울에 주민등록이 없더라도 실제로 서울에 거주하는 시민이면 이용할 수 있어요!

2.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장애인도 이용할 수 있나요?

휠체어를 사용하셔도 스스로 착석 가능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휠체어에 혼자 앉을 수 없거나, 화장실 이용이 어려운 경우 이용이 어렵습니다.

3. 차량이 제공되나요?

아니요!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만 이용할 수 있으며, 차량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교통비는 본인 부담이에요.

4. 결제는 어떻게 하나요?

💳 계좌이체, 카드결제, 모바일 결제 가능!
✔ 단, 카드 단말기가 부족할 경우 일부 결제가 어려울 수도 있어요.

5. 무료 이용 대상자는 몇 번까지 이용할 수 있나요?

중위소득 100% 이하 시민은 연간 48회 무료 이용 가능
✔ 49회부터는 유료 적용 (시간당 5,000원)

 

👩‍⚕️ 혼자 병원 가기 막막할 때,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 1533-1179로 전화하거나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

 

★함께 보면 유용한 글★

 

병원동행매니저 vs 요양보호사 (+현실적 비교 및 자격조건)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 및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돕는 직업이 주목받고 있어요.그중에서도 ‘병원동행매니저’와 ‘요양보호사’는 비슷한 듯하면서도 역할, 자격 조건, 근무

daonenjoy.com

 

댓글